안녕하세요~ 오늘은 단기 이자 계산하는 법과 복리이자 계산하는 법에 대해서 한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~
▷ 단기 이자 : 매년 이자가 발생하지만 이자에 대한 이자는 없는 것이 단기 이자 입니다.
△ 복리 이자 : 매년 이자가 발생하고 발생된 이자에 대해서도 이자가 발생
1. 단기 적금 이자 계산법
위의 표를 보면 알수 있듯이 월 100,000원의 금액을 1년(12개월)동안 납부한다고 가정했을때 실직적으로 받는 이자금액은 전체 금액(1,200,000)의 5416.66666666667%인 65,000원이 나오게 됩니다.
이 금액에서 세금(15.4%)를 뺀 금액인 10,010원이 실직적인 적금 이자가 되는 것입니다.
세금이 15.4%인 이유는 소득세 14%와 주민세 1.4%를 포함하여 15.4%의 세금이 빠지게 되는 것입니다~
알아만 두시면 좋을것 같아요 굳이 일일이 이렇게 계산할 필요는 없습니다~ 요즘은 인터넷으로 다 확인이 가능 하니까요~!!!
아래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적금이자율을 알아서 계산해 줍니다
정기예금은 일정금액을 예금해 놓고 이자를 받는거라서 계산이 아주 쉽습니다~!!
예를들어서 10,000,000원을 정기예금으로 넣어 놓고 1년을 설정해 놨으며 예금이자가 10%라고 한다면
이자는 1,000,000원 입니다. 거기에서 세금만 제외 시시면 된답니다~!!
2. 복리 적금 이자 계산법
일단 복리 적금의 경우 연복리와 월복리로 나누어 집니다~!!
복리 적금의 경우 처음에 설명들였듯이 예금에 이자를 더한 상태에서 또 이자를 더하는 방식인데요 연복리는 연단위로 월복리는 월단위로 이자를 계산 하는 방식입니다.
당연히~!! 월복리 방식이 돈이 더 많이 불어 날 겁니다~!!
그렇다면 연복리와 월복리의 공식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할께요~!!
[연복리] : 월납입금*{(1+r)((n+1)/12)-(1+r)(1/12)}/{(1+r)(1/12)-1} - 원금
(월복리): 월납입금*(1+r/12)*{(1+r/12)n-1}/(r/12) - 원금(=월납입금*n)
예제로 한번 살펴 보도록 할께요~!!
일단 연복리는 적립율 10%의 예금을 2년 동안 넣는다고 가정하여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~!!
[연복리]
100만원×{(1+0.1)((24+1)/12)-(1+0.1)(1/12)}/{(1+0.1)(1/12)-1}
- 24,000,000 = 2,545,127원
[월복리]
100만원×(1+0.1/12)*{(1+0.1/12)24-1}/(0.1/12) - 24,000,000
= 2,667,306원
역시 제일 간단한 방법은 네이버 계산기내요
그런데 안타깝게도 네이버 계산기에서는 연복리에 대해서는 알려 주지 않는다는점 ~!!
'생활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두피에서 냄새가 나는 이유 and 두피에 좋은 음식 (8) | 2019.01.08 |
---|---|
머리 올바르게 감는 방법 (탈모 예방) (12) | 2019.01.07 |
공복에 먹으면 나쁜 음식 20가지 (22) | 2018.12.05 |
피부양자외 지역 가입자의 건강검진 (14) | 2018.12.02 |
콧물이 나오는 이유~!! (18) | 2018.11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