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정보통신 산업기사] 리플률을 감소시키는 방법
1. 리플률(맥동률, Ripple factor) § 리플(ripple)이란 정류된 출력에 포함된 교류분, 즉 맥동률의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. § 리플이란 직류 성분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신호로서, 충전과 방전으로 인한 출력전압의 변동이다. ※RC회로의 시정수, r=RC가 커지면 커패시터 방전은 훨씬 적어질 것이므로, 리플 함유율이 작아진다. §반파 정류보다는 전파 정류 능력을 갖는 브리지 정류회로를 사용함으로써 리플 함유율을 줄일 수 있다. § 교류(AC)를 직류(DC)로 정류하는 과정은 스위칭 소자에 의존하는데 이 스위칭 소자의 비선형성으로 인해 고조파가 형성되며 이 고조파를 충분히 억제하지 못해 나타나는 출력 직류의 규칙적 잡음 요소를 리플(ripple)이라고 합니다. §리플률이란 정류된 직류(전압)속..